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제51회 콜로키움] 북한여성의 공간경험 확장과 의식변화 여성문화이론연구소의 월례 콜로키움이 다음과 같이 18일 저녁에 열릴 예정입니다. 이번 콜로키움에서는 단순히 북한여성의 인권침해 실태의 보고에서 벗어나 북한 여성을 시장이라는 공간을 통해 진보적인 의식의 변화를 이루는 ‘실천적 주체’라는 관점에서 바라보고자 합니다. 북한이 매우 폐쇄적인 사회이기는 하지만, 열려있는 조-중 접경지대에서 증가되는 북한의 시장과 자본주의의 흐름을 북한여성의 생활상과 의식의 변화와 함께 살펴봅니다. 혜화동에서 더 많은 이야기를 들어보세요. ^^ 북한여성의 공간경험 확장과 의식변화 일시: 2011년 5월 18일 저녁 7시 장소: 여성문화이론연구소 발표: 노귀남 (동북아미시사회연구소) 북한 사회에서 여성은 남성중심의 가부장성 정치체제와 가정에 이중적으로 억압되고 예속된 삶을 살아가고.. 더보기
50회: '빨간뻔데기 녀성들'의 이야기 한국의 여성미술, 페미니즘과 미술을 이야기 해보자 해서 만들어진 여이연의 여성미술 세미나 의 첫번째 아트북 출간기념 여이연 콜로키움! 세미나에서 모여 책을 뒤적거리는 데서 만족할 수 없던 그녀들은 직접 강사들을 섭외해 강좌를 만들어내고, 이름난 작가들의 작업실 탐방에 나서는데, 정정엽 작가는 자신의 작업실을 찾은 빨간 뻔데기 녀성들에게 다음과 같은 편지를 남겨주시고.. "그대들은 잘 모르지만 나는 알지요~ 그대들이 월메나 중요한 사람들이란 걸 몰 찾아다는다는 건 질문과 열정이 있다는 것 고거이 자기삶을 가꾸는 원동력이고 예술하게 하는 힘! 한번 만남에 이런 인상을 쓸수 있게 하는 사람들 많지 안답니다. 동병상련 ㅋ~ 오다가다 또 만나고 한 10년쯤 뒤에는 목적의식적으로 모다 만나 술 한 잔 합시다!" 곽.. 더보기
[제50회 콜로키움] 빨간뻔데기의 "하드코어 아트북 제작기" 제 50회 콜로키움 빨간뻔데기의 "하드코어 아트북 제작기" 일시: 2011년 4월 20일 저녁 7시 장소: 여성문화이론연구소 발표자: 빨간뻔데기(여이연 여성미술 세미나팀) "페미니즘이라고 하는 이름으로 묶이진 않아도 페미니즘에 영감을 얻은 다양한 활동이 많이 있다고 생각해요. 페미니즘 운동의 윤리나 철학들이 녹아있는 것. 그게 페미니즘이라고 생각해요. 페미니즘이라는 깃발을 꽂지 않고 누군가 페미니스트라고 천명하지 않았기 때문에, 페미니스트들이 아무 것도 안하고 있다고 얘기하는 것은 너무 단순한 시각이라고 생각해요. 그건 페미니즘을 윤리나 철학이 아니라 헤게모니와 정치권력으로만 이해하는 거예요. 이미 페미니즘은 사람들에게 일상적 윤리와 당연한 정치철학으로 내재되어 있어요. 그것이 페미니즘의 제일 좋은 성과.. 더보기
49회: '인문지리학과 로컬리티'의 풍경 꽉 찬 여이연, 즐거운 시간이었어요 ^^ 더보기
[제49회 콜로키움] 로컬리티 개념과 인문지리학 더보기
[제48회 콜로키움] 페미니즘 이후의 문학읽기 [제48회 콜로키움] 페미니즘 이후의 문학읽기 일시: 2010년 10월 28일(목) 오후 7시 발표: 이은경 (여성문화이론연구소) 장소: 여성문화이론연구소 여성과 남성은 다르게 읽는가? 여성주의 비평은 여성 저자를 어떻게 상상하는가? 플롯은 젠더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가? 여성주의는 문학적 가치와 정치적 가치 사이의 관계에 관해 어떻게 말해야 하는가? 페미니즘 이후 문학에는 어떤 변화가 일어났는가? 페미니즘 이후 문학의 지형도에 변화가 일어났다고 주장하는 것 자체가 페미니스트들의 과도한 자아도취인가? 아니면 페미니즘 문학은 일시적인 젠더 해방구로 그 기능과 용도를 다하였는가? 이런 의문을 제기하면서『페미니즘 이후의 문학』을 시작한 리카 펠스키는『근대성의 젠더The Gender of Modernity』라는.. 더보기
[제47회 콜로키움] '국민의 배우자'를 벗어난 여성들: 한족결혼이주여성의 이혼 사례를 중심으로 [제47회 콜로키움] '국민의 배우자'를 벗어난 여성들: 한족결혼이주여성의 이혼 사례를 중심으로 일시: 2010년 6월 23일 (수) 오후 7시 발표: 문경연(서울대 인류학 석사) '국내 체류 외국인 거주민 백만 시대' 에 들어선 한국에서 요즘 화두로 떠오르는 단어는 '다문화 사회 한국'이다. 이 '다문화 사회 한국' 형성의 주요 일원은 '국제결혼이주여성(결혼이민자)'와 '외국인 근로자'라고 할 수 있다. 이 발표가 주목하는 대상은 국제결혼이주여성이며, 그 중 재중동포에 이어 많은 비중(약 20%)을 차지하고 있는 중국 한족 결혼이주여성들이다. 이 여성들을 주목하게 된 이유는 한족결혼이주여성들이 현재 국제결혼에 있어서 '이혼이나 별거‘의 비율이 가장 높기 때문이다. 이 발표는 국제결혼이주여성과 관련하여 .. 더보기
[제46회 콜로키움] 빈농집 여자들이 들려주는 이야기 [제46회 콜로키움] 빈농집 여자들이 들려주는 이야기 일시: 2010년 5월 19일 (수) 오후 7시 반 발표: 라봉, 밤비 (빈농집 여자들) 혹시 빈집이라고 들어보셨나요? 누군가는 "비어 있어서 빈 집이냐 가난해서 빈 집이냐" 궁금해하던데 그 둘 다라고 합니다. 공식 인터넷 사이트(house.jinbo.net)를 참고하니 비어있는 집, 손님들의 집인 게스츠하우스(guesthouse)라고 합니다. 정식 이름은 좀 긴데, "해방촌 게스츠하우스 빈집/빈마을". 빈집이란 걸 만든다는 얘길 들은 지 어언 얼마쯤(정확히 모름), 지금에 와서 보니까, 이제 집을 넘어 마을을 만들고 있습니다. 빈마을금고도 운영하고 화폐에 대한 얘기도 하고 빈가게 오픈도 모의하고 있습니다. 전세집 하나 얻어 시작한 빈집도 어느새 아랫..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