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썸네일형 리스트형 [2024 하반기 콜로키움] 10/25(금), 11/26(화) 저녁 7시 30분 온라인 10월 콜로키움『떠오르는 숨: 해양 포유류의 흑인 페미니즘 수업』 출간의 잠정적 의미2024년 7월 출간된 『떠오르는 숨: 해양 포유류의 흑인 페미니즘 수업』은 흑인 노예제와 해양 포유류 학살의 역사를 함께 읽도록 초대하는 책이다. 이 책의 저자인 흑인 퀴어 페미니스트 알렉시스 폴린 검스는 해양 포유류 혹은 독자(당신)를 지칭할 때, 그 지칭어가 누구를 가리키는 것인지를 의도적으로 모호하게 하며 인간과 비인간의 경계를 불분명하게 만든다. 그 불분명한 경계를 통해 독자는 지금까지와는 다른 존재 방법이 있음을 배우게 된다. 이번 콜로키움에서는 교차성, 지식 생산, 흑인 페미니즘 등의 키워드를 중심으로 『떠오르는 숨』의 출판 기획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 요가 및 명상 낭독회, 엑스태틱 댄스 낭독회, 온.. 더보기 『여/성이론』 50호 발간 기념, 50인의 발행후원인을 모집합니다! 『여/성이론』 50호 발간 기념, 50인의 발행후원인을 모집합니다!지난 25년 동안 50권의 『여/성이론』이 발간되었습니다. 학술지의 독자적 생존이 쉽지 않은 조건에서 페미니즘 학술지로서 25년의 역사 그 자체가 기적이었습니다. 앞으로 25년을 다시 준비하면서 『여/성이론』 발행을 위한 50인의 후원인으로 모시고자 합니다.후원인은 매월 정기적으로 일정금액(5,000원 이상)을 약정하시는 분들로, 오는 2024년 12월 발행 예정인 51호부터 『여/성이론』 뒷면에 후원인 이름을 명기하고, 요청하시는 수령지로 『여/성이론』을 보내드립니다. 기존 연구소 회원이신 분들, 비회원이신 분들 모두 발행후원인 가입을 부탁드립니다.현재 『여/성이론』은 50인 미만 발행후원인의 CMS 후원금과 소수의 정기구독 후원으로 제.. 더보기 『여/성이론』 50호 기념 행사 안내(9월 28일 토요일 오후 3시 연구소, ~9/22 신청폼 마감) 『여/성이론』 50호 발간 기념 행사에 초대합니다 1999년 『여/성이론』 1호 발간 이후 25년, 50호의 출간을 맞았습니다. 독립 간행물 『여/성이론』은 이론과 현장을 아우르며 여성주의적 시각에서 새로운 시대의 이론적 패러다임을 만들고자 노력해 왔습니다. 50호를 기념하여 『여/성이론』의 역사를 돌아보고, 미래를 응원하는 자리를 마련했습니다. 바쁘신 가운데 틈을 내서 참석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일시: 2024년 9월 28일(토) 15:00-18:00 ●장소: 여성문화이론연구소 (서울시 영등포구 영등포로 420-6 WING 1층 백수남홀) ●신청폼: bit.ly/4dWrVuH * 신청폼을 통해 사전 신청을 부탁드립니다(~9/22 일요일). 참가비는 없습니다. * 와인, 무알콜 음료, 비건과 .. 더보기 2024 여성문화이론연구소 65번째 여름강좌 2024 여성문화이론연구소 여름강좌(온라인)▶방식: 저녁 7:30-9:30 실시간 zoom 화상강의, 일주일 다시보기 제공(유튜브 링크) ▶수강료: 각 강좌 6만 원(8월 수요강좌 4만 5천 원)(회원, 5인이상 단체 신청, 3강좌 이상 신청 20% 할인) ▶수강신청폼: https://forms.gle/oedXZx81LwKNLgwG6▶입금 계좌: 국민 411401-01-184386 (예금주: 사단법인여성문화이론연구소) ▶문의: 02-754-2825, gofeminist1020@gmail.com[할인] * 여성문화이론연구소 회원의 경우, 강좌 수강시 각 강좌당 20% 할인이 됩니다(단, 회원가입 후 3개월이 지난 회원에 한합니다). * 5인 이상 단체수강의 경우, 20% 할인이 됩니다. * 3강좌 이상 신.. 더보기 [103회차 콜로키움] "커먼즈는 무엇인가: 돌봄의 관점에서" 여성문화이론연구소 103회차 콜로키움커먼즈는 무엇인가: 돌봄의 관점에서돌봄은 범주화된 활동이나 서비스가 아니라 비인간을 포함한 모든 타자와 연결되는 활동/노동에 깃든 윤리적 태도이자 사회적 관계입니다. 본 발표는 커먼즈가 생산과 재생산의 인식론적, 실천적 분리를 넘어서 삶을 회복하는 "살림살이"의 양식임을 설명하고 이러한 살림살이의 회복이 어떻게 돌봄에 대한 새로운 접근을 요구하는지 살펴봅니다. ● 발표: 한경애 (사회: 한우리) ● 일시: 5월 31일(금) 저녁 7시 30분 ● 장소: 온라인 줌 ● 신청: 참가비 자율납부(국민 411401-01-184386), 신청폼 제출(신청 마감: 5월 30일(목) 23시 59분) ▶신청폼: https://forms.gle/A3zmn24s7hczoQCZ7● 문의:.. 더보기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공개(2023년) 사단법인 여성문화이론연구소는 지정기부금단체로, 「법인세법 시행령」에 따라 2022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을 아래와 같이 공개합니다. 더보기 2024 여성문화이론연구소 64번째 봄강좌 2024년 여성문화이론연구소 봄강좌 ▶방식: 저녁 7:30-9:30 실시간 온라인 강좌(*다시보기 일주일 제공) ▶수강료: 6만원(회원, 5인이상 단체 신청 48,000원(20%할인)) ▶수강신청폼: https://forms.gle/8J5w2KULdU9THbgx7 ▶입금 계좌: 국민 411401-01-184386 (예금주: 사단법인여성문화이론연구소) [공지] * 1강은 화요일, 2-4강은 월요일에 진행되는 점 참고 바랍니다. [할인] * 여성문화이론연구소 회원의 경우, 강좌 수강시 각 강좌당 20% 할인이 됩니다(단, 회원가입 후 3개월이 지난 회원에 한합니다). * 5인 이상 단체수강의 경우, 20% 할인이 됩니다. [환불] * 개강 7일전까지 전액 환불, 7일 이내 50% 환불, 개강 이후 환불 불가.. 더보기 [102회차 콜로키움] “4·16세월호참사 10주기, 사회적 참사를 둘러싼 정동정치” 여성문화이론연구소 102회차 콜로키움 “4·16세월호참사 10주기, 사회적 참사를 둘러싼 정동정치” 4·16세월호참사의 사건적 충격은 “한국사회는 4·16 이전과 이후로 나뉜다”라는 말 속에 응축되어 있다. 10년의 세월이 흐른 현재는 시대의 분기점이자 이정표로서 4·16세월호참사가 한국사회를 얼마나 바꾸었는지에 대한 다양한 평가와 기록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번 발표에서는 정동정치의 관점에서 4·16세월호참사가 한국사회에 어떤 변화를 불러일으켰고, 또 어떤 과제를 남겼는지 고민해 보고자 한다. 4·16세월호참사는 정동정치의 관점에서도 그 이전의 재난참사들에서는 볼 수 없었던 새로운 양상을 보여주었는데, 애도의 정치가 그 한 측면이라면 또 다른 측면은 혐오의 정치라고 할 것이다. 10·29이태원참사에서 나.. 더보기 이전 1 2 3 4 5 6 ··· 5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