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도서출판여이연/단행본

[개정판]19세기 서울의 사랑

저자 김경미, 조혜란 여이연 2016.04.25

페이지 270 ISBN 9788991729285 판형 규격외 변형

 책 소개

<절화기담>과 <포의교집>은 19세기에 창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한문 소설로, 길이는 둘 다 중편 소설 정도에 해당한다. 이 두 작품은 일단 남녀의 애정에 관한 이야기인데, 그런 만남이 가능했던 건 순전히 18, 19세기 서울의 세태 풍속이 그러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의 세태는 구보씨가 천변을 걸으면서 처음 보고된 것으로 생각하지만, 그러나 이 두 작품을 보면 우리나라 세태소설의 기원은 그보다 훨씬 앞선 19세기 고소설에서 찾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절화기담>에서 가장 인상적인 부분은 이 작품이 갖는 성애적인 분위기일 것이다. <절화기담>에서는 윤리나 도덕을 찾아보기 어렵다. 이 점이야말로 <절화기담>이 갖는 특징적인 부분이자 미덕이다. 대부분의 고소설 작품들은 일단 뭔가 교훈될 만한 내용을 주어야 한다는 강박에 시달리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유부녀가 외도를 하고 남편에게 돌아가려 해도 아무런 응징을 가하지 않는 소설, 이야기의 가벼움을 보여주는 소설, 그것이 <절화기담>이다. <절화기담>이 세련된 가벼운 터치로 일상을 건드려 준다면, <포의교집>은 진지하고 무겁고 비극적인 분위기로 일상을 육박해 들어온다. <포의교집>의 여주인공은, 처음 이 작품을 접하는 독자들이 얼떨떨해질 지경으로, 불륜 사실을 숨기려 들지 않는다. 오히려 당당하게 자신의 사랑을 공표하며 죽음을 선택한다. 자칫 살인이 될 뻔한 남편의 폭력, 여주인공의 계속되는 자살 시도들. 이 부분들을 읽노라면 심지어 조선식 하드코어를 보는 듯하다. 그러나 가장 충격적인 부분은 여주인공의 생각이다. 오늘날 우리들의 눈에는 불륜으로 보이는 사건을 놓고, 그 여주인공은 ‘곧은 행동’이었다고 확언한다. 21세기의 ‘앞집 여자’들도 혼외정사는 불륜이라고 생각하고 쉬쉬하는데, 19세기의 그녀는 그것을 정행(貞行)이라 주장했다. <포의교집>의 서사는 여주인공이 치르는 한바탕의 홍역과도 같은 애정 서사를 보여준다.

 
 저자 소개
김경미
이화여자대학교에서 한국고전문학을 전공하고 <조선후기 소설론>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여성문화이론연구소 성노동 세미나 팀에서 함께 공부하고 있으며 [여/성이론] 편집위원으로 참여하고 있다. 고전소설을 젠더, 사회사적 시각에서 연구한 다수의 논문을 발표하고 한문소설을 번역하였다. 조선시대 여성생활에 관한 자료를 수집, 번역해 왔으며 특히 여성의 글과 글쓰기에 관심을 갖고 있다.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인문과학원 HK교수로 있다. 저서로 [소설의 매혹], [19세기 소설사의 새로운 모색], [家와 여성], [조선의 여성들](공저) 등이 있고, 역서로 [여자, 글로 말하다-자기록], [금오신화], [심양장계](공역), [17세기 여성생활사 자료집](공역) 등이 있다.


조혜란
이화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고전문학을 전공하고, “<삼한습유>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전공 부교수로 있다. 여전히 고전문학과 여성 두 가지 화두를 놓고 씨름하고 있으며, 요즘은 조선시대 서사가 새로운 시대를 만나면서 만들어 내는 꿈틀거림, 그 모양을 궁금해 하고 있다. <절화기담>과 <포의교집>을 번역하여 [19세기 서울의 사랑]으로 갓 묶어 냈을 때와 마찬가지로 지금도 여전히 개와 요리책 그리고 TV 보기를 좋아한다. 저서로는 [고전소설, 몰입과 미감 사이], [고전서사와 젠더], [옛 소설에 빠지다], [옛 여인에 빠지다], [조선의 여성들](공저) 등이 있으며, 역서로 [삼한습유 역 주], [소현성록](공역), [심양장계](공역), [17세기 여성생활사자료집](공역) 등이 있다. 
 
 목차
-해제-
새로운 서사의 등장 <절화기담>과 <포의교집>

-번역-
절화기담 
포의교집

-원문-
折花奇談
布衣交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