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여성문화이론연구소 봄강좌
▶방식: 저녁 7:30-9:30 실시간 온라인 강좌(*다시보기 일주일 제공)
▶수강료: 6만원(회원, 5인이상 단체 신청 48,000원(20%할인))
▶수강신청폼: https://forms.gle/8J5w2KULdU9THbgx7
▶입금 계좌: 국민 411401-01-184386 (예금주: 사단법인여성문화이론연구소)
[공지]
* <페미니즘 Re라이브> 1강은 화요일, 2-4강은 월요일에 진행되는 점 참고 바랍니다.
[할인]
* 여성문화이론연구소 회원의 경우, 강좌 수강시 각 강좌당 20% 할인이 됩니다(단, 회원가입 후 3개월이 지난 회원에 한합니다).
* 5인 이상 단체수강의 경우, 20% 할인이 됩니다.
[환불]
* 개강 7일전까지 전액 환불, 7일 이내 50% 환불, 개강 이후 환불 불가.
여/성이론 50호 기념 연속기획 강좌
페미니즘 Re라이브 (강사: 정은희, 김선혜, 나영, 손희정)
2024년 여름에 발간될 『여/성이론』 50호를 기념하여, 『여/성이론』의 한 코너인 “페미니즘 라이브”를 톺아보는 시간을 마련한다. 페미니즘 라이브는 페미니즘 운동과 담론의 역사 속에 지금 페미니즘의 상황을 위치 지음으로써 실황(live)의 전달뿐만 아니라 시간성을 지닌 살아있는(live) 것으로 페미니즘을 기록하고 이해하려는 기획이다. 2022년 미국에서는 로 대 웨이드 판결(48호)을 무효화하는 퇴행적 흐름이 나타났고, 한국에서는 2021년 1월 이후 임신 중지를 처벌하는 조항이 사라졌으나 여전히 안전하게 임신 중지할 권리가 보장되지 않고 있다. 윤 정부의 주요 집권 공약이었던 여성가족부 폐지(46호)는 총선 정국에 부활하였다. 지난 “페미니즘 라이브”의 기록들과 첨예하게 진행 중인 페미니즘 이슈를 교차하여 살피고 새롭게 이으며, 페미니즘의 리라이브를 모색해 본다.
1강. 5월 14일(화) 전 세계적인 임신중지 권리 투쟁—폴란드, 미국, 아르헨티나, 아일랜드를 중심으로 (강사: 정은희)
2강. 5월 20일(월) 한국 임신중지권의 현재: 무엇이 필요한가? (강사: 김선혜)
3강. 5월 27일(월) 구조를 뒤집는 성평등의 방향을 모색하자: 여성가족부 폐지 논란에 부쳐(46호) (강사: 나영)
4강. 6월 3일(월) 성별 대립 너머를 분석하기:『스티프트』와 한국의 백래시 (강사: 손희정)
강사 소개
정은희: 『검은 시위』(2023) 저자. 2008년 세계공황 이후 연이은 아랍의 봄과 유럽 긴축 반대 운동을 접하며 국제 문제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민중언론 <참세상>과 시사월간지 <워커스>에서 국제 뉴스를 보도했다. 현재는 통합 사회주의 조직, 사회주의를향한전진 여성운동위원회에서 활동하고 있다.
김선혜: 이화여자대학교 여성학과 조교수. 성적권리와 재생산정의를 위한 센터 셰어 기획운영위원. 초국적 보조생식기술산업과 새로운 재생산 주체들을 주제로 여성학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주요 연구 관심사는 트랜스내셔널페미니즘, 의료기술, 그리고 재생산하는 몸이다. 낙태죄폐지운동, 모자보건법, 임신중지, 난임, 피임, 대리모, 태아산재 등 한국의 재생산 정치와 관련된 논문들을 발표해왔다.
나영: 문화연대와 지구지역행동네트워크에서 활동했다. 현재는 ‘성적권리와 재생산정의를 위한 센터 셰어 SHARE’ 대표로 활동하면서 ‘ASAP(Asia Safe Abortion Partnership)’ 운영위원, ‘사단법인 청소년 성소수자 지원센터 띵동’ 이사로 활동하고 있으며, ‘모두의 안전한 임신중지를 위한 권리 보장 네트워크’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성과 정치경제, 성·재생산 건강과 권리 및 재생산정의 운동, 적녹보라 패러다임과 글로컬 액티비즘에 주된 관심을 두고 있다.
손희정: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학술연구교수, 미디어연구X영상문화기획 단체 프로젝트38 멤버.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에서 영화이론을 전공했으며, 수전 팔루디의 영향 아래 페미니즘 문화비평을 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손상된 행성에서 더 나은 파국을 상상하기』 『당신이 그린 우주를 보았다』 『다시, 쓰는, 세계』 『페미니즘 리부트』 등과 공저 『제로의 책』 『도래할 유토피아들』 『원본 없는 판타지』 등이 있다. 『다크룸』 『여성괴물, 억압과 위반 사이』 『호러 영화』 등을 우리말로 옮겼고, 『백래시』에 해제를 썼다.
참고 자료
• 정은희, 『검은 시위』, 무산여성, 2023.
• 시나, “로 대 웨이드 무효화: 위태로워진 낙태권, 그리고 우리” 『여/성이론』 48: 120-132, 2023.
• 백영경 외, 『배틀 그라운드』, 후마니타스, 2018.
• 나영, “구조를 뒤집는 성평등의 방향을 모색하자-여성가족부 폐지 논란에 부쳐” 『여/성이론』 46: 98-111, 2022.
• 수전 팔루디, 『스티프트』, 손희정 옮김, 아르테, 2024.
수요강좌
앨리슨 케이퍼, 『페미니스트, 퀴어, 불구』 함께 읽기 (강사: 이명훈)
질병과 장애에 대한 자기 서사가 활발히 출판되는 요즈음, 페미니스트 관점에서 퀴어와 불구의 교차성에 대해 심도 있는 통찰을 담은 앨리슨 케이퍼의 논쟁적 연구는 비장애중심주의의 현재에 대한 분석과 장애 정치의 미래를 그려볼 수 있는 좋은 참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강좌를 통해 백인 남성 비장애 이성애 중심의 과거와 현재에 대한 대안으로서 페미니스트, 퀴어, 불구의 미래를 어떻게 상상할 수 있는지, 장애 정치와 연합하는 환경정치는 어떻게 그려볼 수 있을지, 치유적 시간을 넘어선 퀴어 불구의 시간성을 어떻게 사유할지에 대한 비전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이다.
1강. 5월 15일(수) 장애의 미래와 불구의 시간
– ‘들어가는 글’, 1장 ‘장애학의 시간과 불구의 미래’
2강. 5월 22(수) 유전학적 유토피아주의
- 2장 ‘일치한 시간과 어긋난 시간’, 3장 ‘페미니즘적 미래에 대한 논쟁’ 일부
3강. 5월 29(수) 텍스트, 미디어에서의 장애 재현
- 3장 ‘페미니즘적 미래에 대한 논쟁’ 일부, 4장 ‘누구를 위한 미래인가’, 5장 ‘사이보그와 불구’
4강. 6월 5(수) 생태주의와 장애, 그리고 교차 운동의 가능성
- 6장 ‘자연의 몸’, 7장 ‘접근 가능한 미래, 미래 연합’
강사 소개
이명훈: 전직 사회교사. 지금은 대학에서 예비교사들을 만나고 있다. 상호배움, 정치, 돌봄, 살림의 경험을 쌓을 수 있는 교육의 가능성을 고민해왔지만, 아직도 그 물음표 주위를 맴도는 중이다. 다수의 인간, 개, 식물과 식구로 지내면서 취약한 우리가 어떻게 서로 의지하고 살아갈 수 있는지 배우고 있다. 잔혹한 낙관을 쫓기보다 불확실한 삶을 붙잡고, 흔들리는 일상에 필요한 언어를 나눌 수 있는 사람이 되고 싶다. 주변화되고 비가시화된 몸들의 노동과 정동, 그것을 둘러싼 시간성과 공간성에 관한 이야기를 옮기기 시작한 이유다. 《반란의 매춘부》를 우리말로 옮겼다.
'강좌'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 여성문화이론연구소 65번째 여름강좌 (0) | 2024.06.24 |
---|---|
2024 여성문화이론연구소 63번째 겨울강좌 (0) | 2023.12.15 |
2023 여성문화이론연구소 62번째 가을강좌 (0) | 2023.10.23 |
2023 여성문화이론연구소 61번째 여름강좌 (0) | 2023.06.16 |
2023 여성문화이론연구소 61번째 여름강좌_특강: 시대난독 (0) | 2023.06.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