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강좌

목요강좌 정체성 읽기 목요강좌 정체성 읽기 교재: Identity: a reader(Paul du Gay, Jessica Evans, and Peter Redman SAGE Publication) 책임강사: 박이은실 강사소개: 말레이시아 국립대 국제학 및 말레이시아학 연구원에서 말레이시아 사회에서 여성의 월경이 어떤 페미니스트 정치학적 위치를 가지는지에 관한 논문으로 사회학 석사를 받고 현재 연세대 문화학협동과정에서 젠더와 계급, 섹슈얼리티가 한국사회에서 어떻게 상호구성되어 왔는지를 깊이 들여다보기 위한 논문을 준비하고 있으며 여성문화이론연구소에서 성노동세미나, 섹슈얼리티세미나를 함께 해오고 있다. 특강 : 박미선, 이현재(여성문화이론연구소) 강좌소개 : 매주 목요일 7시 수많은 정체성들이 넘쳐나며 서로의 존재성을 외치게 되.. 더보기
화요강좌 자본론 읽기 화요강좌 자본론 읽기 교재: 자본론(칼 마르크스, 김수행 역, 비봉출판사) 책임강사 : 이은숙 강사소개: ‘내일은 바로 오늘’이라는 좌우명을 갖고, 살 길을 찾아 경제학 공부와 함께 페미니즘 이론과 활동에 관심을 기울이며 만년 학동을 지향하는 연구 활동자이다. 취미는 산에 다니기. 강좌 소개: 매주 화요일 7시 반 자본론을 통해 자본주의 사회의 구조와 정치경제적 운동법칙, 자본의 본질을 탐구하는 자리다. 특히 자본에 의한 사회의 경제적 지배관계가 어떻게 정치적/사회적, 사상적 지배관계로 확대되는지를 들여다보려고 한다. 천천히 꼼꼼하고 끈질기게 읽다보면 뜻밖의 보너스도 낚아 올리게 될 것이다. 낡은 교리가 아닌 고전으로서의 자본론을 현대 세계의 변화를 바탕으로 새로이 독해해서 현실 변화에 써먹자는 의도를 .. 더보기
2008년 여이연 스물다섯번째 여름강좌 [여성문화이론연구소 2008 여름강좌 -스물 다섯번째] [강좌 1] 주디스 버틀러와 젠더 읽기 버틀러 역자들과 함께 버틀러의 주요저작을 함께 공부하는 강좌. 1강. 섹스/젠더/섹슈얼리티: 2강. 가장무도회와 젠더: 3강. 모호한 욕망, 불순한 복종: 4강. 성적 자율의 경계에서: 5강. 국가 없는 주체들: 일시 : 7월 28일 - 8월 1일 오후 7시 강사 : 조현준(여성문화이론연구소), 주해연(위스컨신대) [강좌 2] 페미니즘 이론 : 유물론적 페미니즘 반동의 시대, 새로운 반격을 준비하라! 신자유주의 세계시장의 무자비한 확장이라는 물적 토대를 여성의 입장에서 사유하면서 지난 세기에 발전되어온 여러 페미니스트들의 통찰을 재검토한다. 유물론적 페미니즘은 현재 우리의 집단적 개인적 역량을 강화하는 방식으로.. 더보기
2008년 여이연 스물네번째 겨울강좌 [여성문화이론연구소 2008 겨울 강좌-스물네번째] 강좌 1. 페미니즘 이론 : 인식론 1 페미니스트 관점이란 무엇인가? 근본적인 질문으로의 회귀. 1강 : 페미니스트 인식론 : 지도그리기 2강 : '내부의 아웃사이더' outsiders-within: 흑인 페미니스트 인식론 3강 : ‘강한 객관성’ strong objectivity, 하딩 4강 : ‘상황적 지식’ situated knowledge, 해러웨이 5강 : 유목적 사유 nomadic thinking, 브라이도티 일시: 2008년 1월 28일-2월 1일 오후 3시 강사: 문은미, 박미선, 박소영(여성문화이론연구소) 강좌 2. 서구의 시선 너머: 이론가들 탈식민주의와 흑인 페미니스트 이론가들. 1강 서구의 시선 아래 : 찬드라 탈파드 모한티 2강 .. 더보기
2007년 여이연 스물두번째 겨울강좌 여성문화이론연구소 2007년 겨울강좌 스물두번째 여성철학 입문- 여성주의적 정체성을 중심으로 1강. 분열된 여성, 그들을 위한 철학은 가능한가? 2강. 여성주의 삼세대와 “여성주의적 정체성” 3강. “정체성”의 세 가지 개념 구분 4강. 여성주의적 정체성과 인정이론 5강. 여성주의적 연대의 가능성 일시: 1월 15일- 19일 오후 3시 강사: 이현재(여성문화이론연구소) 생명과학기술 : 여성의 몸과 일상의 정치 과학기술에 대한 여성주의적 개입을 어떻게 할 것인가. 여성의 몸에 대한 착취를 고발하는 수준을 넘어 혹은 여성 보호를 위한 법제도를 요구하는 수준을 넘어, 과학기술에 대한 '대응'이 아니라 과학기술이 형성되는 과정 자체에 정치적으로 깊이 개입하기 위한 여성주의적 비전를 이야기 해보자. 1강. '여성.. 더보기
2006년 여이연 스물한번째 여름강좌 2006여성문화이론연구소 여름강좌 - 스물한 번째 성별 문제 (Gender Trouble) 그 이후 ― 이원적 성별에 대한 재고와 도전들 쥬디스 버틀러 이후 여성/성별이론의 지형의 변화 발전을 “여성의 남성적 성별”을 중심으로 논쟁들을 정리하고 탐구한다. 이론적 개괄: 성별 수행성 이론 이후의 성별에 대한 의제와 토론 가려진 성별 위반: 여성의 남성성 (Female Masculinity) 무대위에 별난 성별들: Drag King (여성의 남성성) 공연의 의미와 분석 여성의 성별전환주의(female to male transgenderism)의 정치학 미국 여성동성애자 TV 극 “L 단어” (The L Word) 거슬러 읽기: 여성의 남성성에 대한 재현을 중심으로 강사: 지혜 (공연학/문화학 연구자) 일시:.. 더보기
2006년 여이연 스무번째 겨울강좌 2006 여이연 스무번째 겨울강좌 너무 추운 겨울, 함께 모여 공부하는 거 어때요? 혜화동 다락방 연구소가 다소 춥기는 하지만 어떻게 하면 찬바람이 덜 들어오고 따뜻한 공간을 만들 수 있을까 고민 중입니다. 그래도 사람들의 온기와 페미니즘에 대한 열정^^이 최고 아닐까요? 2006년 여성문화이론연구소 강좌로 시작하세요. 페미니즘이론 가끔 이론이 뭔가하는 생각이 들 때가 있다. 페미니즘 이론 강좌는 더욱 그렇다. 가장 현실적이고 실천적인 문제에서 파생되는 여러 고민들과 의문들을 한 “큐”에 해결할 그 무엇인가를 지향하지만 늘 2%로 부족하다. 2%로는 함께 고민하는 이들의 몫이다. 1강. 여성주의 철학: 주체성과 행위성에 관한 논쟁들 2강. 섹슈얼리티: 욕망과 권력 관계에 대한 성찰. 3강. 일상과 성의 .. 더보기
2005년 여이연 열아홉번째 가을 강좌 2005년 여이연 가을 강좌 (11월 17일부터-12월 15일 매주 목요일 저녁 7시부터-9시까지) 다락방에서 타자를 만나다 타자란 무엇인가. 사회적으로 주변화되고 비체화된 존재들을 타자라고 일컫기로 한다. 이런 타자들이 지배 담론에 맞서 자신의 목소리를 갖는 것이야말로 타자들의 정치성을 확보해 나가는 과정일 수 있다. 제도가 원하는 방식대로 반응하지 않는 경계위반의 욕망과 그 일탈성으로 인해 타자들은 수동적인 피해자가 아니라 나름의 여유와 유머를 갖는 자기 이야기의 주체가 될 것이기 때문이다. 2005년 여이연 가을강좌는 다락방에서 타자의 목소리와 만나는 장을 열고자 한다. 1주(11월 17일). 비체들의 유혹적인 유머 2주(11월 24일). 불안한 남성주체 3주(12월1일). 공포스런 여성비체 4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