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강좌

2000년 여이연 네번째 가을강좌 2000년 여이연 네번째 가을강좌 (10.27 ~ 12.6) Ⅰ. 페미니즘 이론 2 - 페미니즘과 현대이론의 역학관계 1강 생산과 재생산의 은폐구조 - 마르크스주의 페미니즘 2강 제국과 재현 - 탈식민주의 페미니즘 3강 정체성의 정치와 젠더 - 레즈비언 페미니즘 4강 욕망의 메카니즘 - 정신분석학적 페미니즘 5강 권력와 섹슈얼리티 - 급진주의 페미니즘 Ⅱ. 페미니즘 이론가들 2 1강 마리아 미스 - 식민화 기획 속의 자연/문화 이분법을 넘어서 2강 반다나 쉬바 - 전지구적 자본주의와 살아남기 3강 우에노 치즈코 - 가부장제, 국민국가, 젠더 4강 벨 훅스 - 인종, 섹스, 위반의 시학 5강 가야트리 스피박 - 탈식민의 가능성으로서의 하위주체 Ⅲ. 여성주의 문화비평 2-미래의 기상도 1강 모성 신화 다시 .. 더보기
2000년 여이연 세번째 봄 강좌 2000년 여이연 세번째 봄 강좌 (4. 24 ~ 6. 9) 1. 페미니즘 이론 1 - 페미니즘과 현대이론의 역학관계 1강 생산과 재생산의 은폐구조 - 마르크스주의 페미니즘 2강 제국과 재현 - 탈식민주의 페미니즘 3강 거부의 매카니즘-정신분석과 페미니즘 4강 정체성의 정치와 젠더-레즈비어니즘과 페미니즘 5강 자연과 여성의 식민화-생태주의와 페미니즘 6강 권력과 성-섹슈얼리티와 페미니즘 2. 페미니즘 이론가들 1 1강 줄리아 크리스테바 - 모성의 기호학과 사랑의 정신분석 2강 뤼스 이리가라이 - 여성적 성정체성의 메트릭스 찾기 3강 주디스 버틀러 - 전복적인 수행성과 퀴어/페미니즘 4강 테레사 드 로렛티스 - 아르키메데스의 지렛대 찾기 5강 엘리자베스 그로츠 - 뫼비우스띠로서의 육체의 지도 그리기 6강 .. 더보기
1999년 여이연 두번째 가을강좌 1999년 여이연 두번째 강좌 (10.25 ~ 12.17) Ⅰ. 페미니즘 이론 - 페미니즘과 현대이론의 역학관계 1강 생산과 재생산의 은폐구조-마르크스주의와 페미니즘 2강 생산과 재생산의 은폐구조-마르크스주의와 페미니즘 3강 거세와 거부의 메카니즘-정신분석과 페미니즘 4강 정체성의 정치와 젠더-레즈비어니즘과 페미니즘 5강 권력과 성-섹슈얼리티와 페미니즘 6강 오래된 미래, 에코토피아를 향하여-생태주의와 페미니즘 7강 테크노피아/테크노포비아-과학 기술과 페미니즘 8강 젠더, 섹슈얼리티, 문화-문화연구와 페미니즘 Ⅱ. 페미니즘 이론가들Ⅰ 1강 줄리아 크리스테바 - 모성의 기호학과 사랑의 정신분석 2강 이리가라이 - 여성적인 정성체성의 메트릭스 찾기 3강 주디스 버틀러 - 전복적인 수행성과 퀴어/페미니즘 4강.. 더보기
1998년 여이연 첫번째 강좌 1998년 여이연 첫번째 강좌 (11.2 ~ 12.4) Ⅰ. 페미니즘 이론 - 페미니즘과 현대이론의 역학관계 1강 유혹인가 전복인가?-정신분석과 페미니즘 2강 정체성의 정치와 젠더-퀴어이론과 페미니즘 3강 하위주체와 재현-탈식민주의와 페미니즘 4강 지속가능한 개발인가 (악성)발전인가 5강 생산과 재생산의 은폐구조-마르크스주의와 페미니즘 Ⅱ. 페미니즘 이론 - 페미니즘 문화연구의 지형과 방법 1강 문화연구와 페미니즘-젠더와 섹슈얼리티의 경계선과 문화 2강 이데올로기(들)과 성적 주체 형성 3강 육체/욕망/권력 4강 시각과 이미지-인식과 지각의 문화적 변동 5강 페미니즘 미학의 새로운 구성 Ⅲ. 영화 - 여성/역사/영화 1강 여성의 표상: 마리아에서 탱크걸까지 2강 육체: 나의 몸은 전쟁터! 3강 가부장제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