퀴어와 페미니즘을 적대적 정치학으로 구성하고(더 정확히 말하자면 퀴어를 페미니즘을 망치고 여성을 억압하는 정치학으로 구성하고) 페미니즘을 반퀴어-보수 기독교의 언설과 긴밀하게 연결시키는 이 시대에 어떤 새로운 개입과 정치학이 필요할까? 보수기독교 기반의 퀴어 혐오 집단은 퀴어와 페미니즘 양쪽 다 혐오하면서 ‘이것들이 나라를 망하게 만든다’고 주장하고, 남혐과 역차별이 존재한다고 주장하는 집단에서는 페미니즘과 퀴어를 동시에 적대하며 ‘이것들이 사회를 위험하게 만든다’고 주장하고, 여혐을 문제 삼는 집단 중 일부는 퀴어를 비난하면서 ‘퀴어가 페미니즘이 설 자리를 위협한다’고 주장한다. 이 혼란스러운 뒤얽힘 속에서 어떤 다른 목소리가 필요하고 또 가능한가?
이 책은 2016년 겨울 솔여심 포럼이란 이름으로 시작하여 2017년 비사이드 포럼으로 이름을 바꾸고 2018년까지 3년째 열리고 있는 비사이드 포럼의 강연 일부를 모은 선집이다. 비사이드 포럼은 이전과는 다른 퀴어 정치, 소수자 정치, 비판 이론을 모색하는 작업이다. 퀴어와 페미니즘은 어떤 정치적·역사적 관계를 맺어왔는가? 퀴어는 모두 단일한가? 정체성은 언제나 분명하고 자명한 정치학인가? 기존에 인정받은 범주에 들어맞는 정체성이 아니면 내가 여기 살아 존재한다는 것 자체를 주장해서는 안 되는가? 만성질환 및 장애가 있는 사람들을 ‘우리’ 곁에 살아있을 수도 없고 살아서도 안 되는 불가능한 존재로 배척하고 혐오하는 사회에서 퀴어와 장애의 교차는 어떤 복잡한 정치적 지형을 구성하는가? 그리고 어떤 다른 인식론적 태도를 요청하는가? 모든 사람은 사랑하고 섹스해야 ‘정상’이라는 유성애 중심적 인간관에서 인간의 어떤 다양성과 차이가 삭제되는가? 합법적인 퀴어와 비합법적인 퀴어를 구분할 수 있는가? 품위와 음란함의 위계를 세울 자격이 누구에게 있는가? ‘똥꼬충’이라고 불리는 사람들은 퀴어와 페미니즘의 교차 위 어디에 존재하는가? 퀴어와 페미니즘의 운동, 담론, 공동체에서 성노동은 어떻게 취급되고 은폐되는가
페미니즘을 획일적인 자매애로 상상하는 동시에 오직 ‘생물학적 여성’만 챙긴다는 자격조건을 걸어놓고도, 중·노년 여성도 이성애적 혼인 관계를 맺은 여성도 유자녀 여성도 비혼모도 여성 성노동자도 치마를 입거나 머리 긴 여성도 ‘좆빨러’라며 배척하는 이 배타적 움직임에서 퀴어 장애인과 퀴어 성노동자와 트랜스 여성은 어디까지 밀려나야 하는가? 페미니즘의 기치를 건 이런 적대에 우리는 어떻게 대응해야 할 것인가? 이것은 비사이드 포럼이 지금 시대에 던지는 질문이기도 하고 동시에 구성원 개개인이 집요하게 모색하고 있는 질문이기도 하다. 이런 질문과 고민을 통해 구성된 본 작업은 혐오와 적대가 넘쳐나는 시대에 다양한 입장과 범주와 사안의 복잡한 교차 속에서 퀴어 정치학을 어떻게 구축할 것인지 모색하고 대안적인 인식론을 만들고자 한다.
|
비사이드 콜렉티브 (beside collective) (지은이) 성노동, 트랜스 페미니즘, 에이섹슈얼, 논모노 지향, 퀴어 페미니즘, 장애학 등을 공부하는 연구자 및 활동가로 구성된 모임이다. 2016년 겨울 솔여심 포럼에서 출발하여 2017년부터 비사이드 포럼으로 이름을 바꿔 매년 여름 포럼을 열고 있다. 혐오가 만연하고 적대가 넘쳐나는 시대, 다양한 입장과 범주와 사안이 복잡하게 교차하는 시대에 퀴어 페미니즘 정치학을 어떻게 구축할 것인지를 모색하고 새로운 인식론을 만들고자 한다.
전혜은 (지은이) 퀴어 이론과 퀴어 페미니즘 장애학을 공부하고 강의한다. <섹스화된 몸: 엘리자베스 그로츠와 주디스 버틀러의 육체적 페미니즘>을 썼고 아픈 사람과 퀴어와 장애와 행위성에 관한 글을 쓰고 번역한다. 한줌의 기력을 개 산책에 다 쓰고 남는 여력으로 마감하는 팔자지만 계속 살아갈 기쁨을 주는 우리 개 왓슨이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
루인 (지은이) 트랜스/젠더/퀴어연구소와 한국퀴어아카이브 퀴어락에서 공부하고 있다. 트랜스젠더퀴어 인식론을 모색하고 그 정치학으로 역사와 문화를 다시 쓰고 있다. 《젠더의 채널을 돌려라》, 《양성평등에 반대한다》, 《한국 남성을 분석한다》 등을 함께 썼고, 《트랜스젠더의 역사: 미국 트랜스젠더 운동의 이론, 역사, 정치》를 함께 번역했으며, <젠더, 인식, 그리고 젠더 폭력: 트랜스(젠더) 페미니즘을 모색하기 위한 메모, 네 번째>(2013) 등의 글을 썼다.
도균 (지은이) 성별이분법에 저항하는 사람들의 모임 여행자와 지구지역행동네트워크 적녹보라의제행동센터 성-노동프로젝트팀에서 활동한다. 팟캐스트 젠더여행자에 진행자로 참여하고 있고, <만23/169/73>, <똑바로 나를 보라>, <똑바로 나를 보라2>, <어쨌건> 등의 연극에 참여했다. 성노동, 크루징, 트랜스젠더퀴어 이슈에 관심이 많다. 함께 흔들리며 늙어가는 애인에게 고마움을 전한다.
|
서문 / 전혜은, 루인
1. 장애와 퀴어의 교차성을 사유하기 / 전혜은
2. 젠더로 경합하고 불화하는 정치학 : 트랜스젠더퀴어, 페미니즘, 그리고 퀴어 연구의 이론사를 개괄하기 / 루인
3. ‘아픈 사람’ 정체성 / 전혜은
4. 죽음을 가로지르기 : 트랜스젠더퀴어, 범주, 그리고 자기 서사 / 루인
5. 게이라는 게 이쪽이라는 뜻이야? / 도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