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도서출판여이연/서평

임옥희 한겨레 21 서평

요즘 영미권에서 널리 읽히고 있는 작가군 중에는 비서구 ‘3세계’ 출신이 상당한 비중을 차지한다. 그들의 소설은 작품성뿐만 아니라 상업성까지 두루 인정받고 있다. 제이디 스미스(<하얀 이빨>·자메이카), 주노 디아스(<오스카 와오의 짧고 놀라운 삶>·도미니카공화국), 키란 데사이(<상실의 상속>·인도), 할레드 호세이니(<연을 쫓는 아이>·아프가니스탄), 하니프 쿠레이시(<친밀감>·파키스탄), 부치 에메체타(<어머니의 꿈>·나이지리아), 수전 최(<미국 여자>·한국), 수키 김(<통역사>·한국), 줌파 라히리(<축복받은 집>·인도)…. 일일이 열거할 공간이 부족할 정도다. 서구에서는 이런 일군의 소설들을 편의상 ‘포스트식민소설’로 분류한다.

 

» 영미권 이주 2세대는 부모 세대가 가져온 조국의 기억과 민족의 전통을 물려받으면서도 그로부터 거리를 유지한다.

왼쪽부터 제이디 스미스, 주노 디아스, 줌파 라히리, 할레드 호세이니(사진 REUTERS), 수전 최.

 

‘3세계’ 다시 쓰는 정치적 감각도

포스트식민소설은 영미권 이주 2세대가 문학시장에 등장하면서 본격화되고 있는 추세다. 그들은 부모 세대가 가져온 조국의 기억과 민족의 전통을 물려받으면서도 그로부터 거리 유지가 가능하다. 적어도 그들은 1세계 교육의 수혜자로서 언어 장벽이 없기 때문이다. 자기 작품 속에서 역사적 고통, 문화적 차별, 경제적 빈곤들마저 유머로 포장함으로써 1세계 독자들이 그들의 작품을 신선한 소재로 편안하게 소비할 수 있도록 해준다. 다른 한편으로는 제국주의적 시선 아래 1세계가 일방적으로 발명했던 ‘3세계’의 역사·서사를 다시 쓰는 정치적 감각까지 발휘한다.

그들은 부모 세대가 신발창에 묻혀온 가난과 고통을 제국의 착취 탓으로 돌리지 않는다. 신자유주의 시대를 살아가면서 ‘마음의 대처리즘’을 수용한 그들의 눈에는 사랑과 영혼마저 자유시장의 논리에 복종하는 것같이 보인다. 모든 것은 자기 책임이다. 따라서 파키스탄 출신 여성시인인 사라 술래리처럼 ‘각자의 집 문턱마다 쌓여 있는 박해의 이야기들/ 지껄이면 혀가 잘릴 것’까지 각오해야 하는 치 떨리는 분노는 없다. 이들 소설이 1세계에서 누리는 인기는 바로 이런 여유와 유머에서 비롯된 것일 수도 있다.

1세계의 고갈된 상상력에 신선한 피를 수혈하고 있는 것이 이런 소설들이다. 전세계의 자원을 끌어다 쓰고 있는 1세계 메트로폴리탄들에게는 역사적 고통도, 경제적 궁핍도 없다. 역사의 휴일을 살아가는 그들에게 삶의 깊은 통증과 높은 가치는 증권거래의 지수로 바뀐 지 오래다. 삶의 강도와 밀도로부터 면제된 사람들에게서 강렬한 상상력이 폭죽처럼 터져나오기를 기대할 수는 없다.


포스트식민소설의 또 다른 장점은 다성적인 언어의 축제다. 그들은 부모 세대가 가져온 유산을 언어의 불꽃놀이로 변용시킨다. 이들은 출신지의 악센트가 묻어 있어 멸시받았던 ‘사투리’ 영어를 능청스런 유머로 활용한다. 자메이카의 레게 음악 같은 영어, 히스패닉 영어, 피진 영어, 아시아계 영어, 흑인 영어 등 영어의 혼종화는 표준화된 대문자 영어를 오염시킨다. 아이러니하게도 영어는 이와 같은 오염을 통해 더욱 풍성하게 확장되고 있다. 이처럼 과거로부터 상속받은 언어적 유산과 구전 전통과 유기체적 사회에 대한 기억이 남아 있는 그들의 이야기는 뒤죽박죽 들끓고 넘쳐서 시골 장터의 왁자지껄한 풍경을 떠올리게 한다. 그들이 실어나른 무수한 언어들의 합창과 재현은 노쇠한 1세계의 상상력에 회춘의 꿈을 불어넣는다.

그런 소설 중 하나가 제이디 스미스의 <하얀 이빨>이다. 이 소설은 이야기로 넘쳐난다. 책을 읽으면서 천천히 생각할 겨를이 없다. 이 소설은 제목만큼이나 이빨의 힘, 즉 ‘구라’의 힘이 아주 세다. 젊은 여성작가의 어디서 그처럼 능청스런 힘이 나오는지 감탄스럽다. 1975년생인 제이디 스미스가 이 소설을 썼을 때 그녀의 나이 고작 스물다섯 살이었다.

» 포스트식민소설은 영어로 쓰인 다성적인 언어의 축제다. 국내에 출간된 영미권 이주 2세대의 소설들.

 

영국과 파키스탄, 쌍둥이의 아이러니

<하얀 이빨>은 두 다문화 가족의 이야기를 중심으로 전개된다. 이혼당하고 자살을 하려다 비둘기 때문에 살아난 백인 하층 노동자 앨프레드 존스는 자메이카 출신 클라라와 엉겁결에 재혼한다. 대머리에 무능하고 착하고 말없는 존스와 윗이빨이 몽땅 빠져 발음이 새는 열아홉 살의 클라라가 만나서 낳은 딸아이가 아이리다. 앨프레드 존스에게는 파키스탄 출신의 친구가 있다. 그의 이름이 사마드 익발이다. 군대에서 함께 사선을 넘은 이후 그들은 평생지기로 지낸다. 제국주의 전쟁에 동원되었다가 한 손을 잃은 사마드는 파키스탄에서는 대학을 나온 잘생긴 청년이었지만, 런던에서 그가 할 수 있는 것이라고는 친척집 식당에서 웨이터로 일하는 것이 고작이다. 그와 방글라데시 처녀인 알시나와 사이에 쌍둥이가 태어난다. 런던 빈민가에서 살고 있는 그의 삶은 알라신의 관심조차 받지 못하는 것처럼 보잘것없다.

사마드와 알시나 사이에 태어난 쌍둥이 아들이 마기드와 밀라트이다. 파키스탄 민족주의자의 후예라는 데 자부심을 갖고 있는 사마드는 영리하고 똑똑한 장남 마기드를 파키스탄으로 보내기로 결심한다. 영국에서 자라게 되면 파키스탄인의 정체성을 도무지 갖지 못할 것이라는 걱정에서 내린 결정이다. 아내도 모르게 아들을 파키스탄 친가로 보내지만 그곳에서 오히려 마기드는 영국인보다 더욱 영국적인 인간으로 성장하여 법학을 전공하려고 영국으로 되돌아온다. 반면 영국에서 자란 쌍둥이 동생 밀라트는 잘생긴 외모로 고등학교 시절부터 백인 여학생들과 침대에서 뒹구는 사고뭉치가 된다. 아이리는 같이 자란 밀라트를 짝사랑하지만 밀라트는 뚱뚱하고 못생긴 아이리에게 친구 이상의 감정이라고는 없다. 밀라트는 영국에서 살면서 오히려 무슬림 근본주의자가 되어 테러를 꿈꾼다. 파키스탄에서 자란 마기드는 너무나도 영국적인 청년이 되고, 영국에서 자란 밀라트는 종교적 근본주의자가 되는 아이러니와 대면하면서 사마드는 자신의 삶이 온통 실패라고 통탄한다. 여기에 덧붙여 영국이 식민지 자메이카인들의 영혼을 구원하려고 가져간 기독교는 여호와의 증인이라는 종교 형태로 기괴하게 귀환한다. 이처럼 다문화·다인종·다민족들이 뒤섞여 뜻대로 맘대로 안 되는 인생살이의 떠들썩한 이야기들이 거대한 강물처럼 흘러간다.

‘어머니의 혀’(mother tongue)로서 모국어는 가지고 있지만 젊은 나이에 이미 이빨이 없는 클라라. 이 소설에서 클라라가 이빨이 없었다는 것은 상징적이다. 그녀에게는 튼튼하게 뿌리내릴 잇몸도 하얀 이빨도 없었다. 그래서 젖니가 나고 송곳니가 살을 찢고 어금니가 자리잡고 사랑니를 앓는 과정은 그녀의 딸인 아이리의 삶을 통해 드러난다.

수다와 허풍과 웃음과 고독의 측면에서 주노 디아스의 <오스카 와오의 짧고 놀라운 삶>은 <하얀 이빨>을 능가한다. 흑인 래퍼들처럼 비어·속어·은어·말장난들을 속사포처럼 쏟아내는 것으로도 미흡했던지 작가는 흥미로운 각주까지 달아놓는다. 방대한 이 소설은 왕따 외계인 ‘오스카 와오가 여자친구랑 함께 잤을까?’라는 질문으로 요약할 수 있다. 일견 외설적으로 보이는 이 질문을 중심으로 도미니카의 거시사가 오스카 집안의 3대에 걸친 미시사와 교직된다.

도미니카의 거시사와 오스카 3대 미시사의 교직

도미니카의 암담한 역사 이면에는 쿠데타를 사주하고 독재국가를 지원한 미국이 있었다. 30년 철권통치를 휘두른 독재자 트루히요는 물러났음에도 도미니카는 폭력이 난무하는 무법천지가 되었다. 30년 독재를 견디면서 도미니카인 전부가 어느새 자기 안에 트루히요 한 명을 만들어놓았던 것이다.

오스카로 상징되는 남미계는 이민인 사이에서도 차별받는다. 중국계·한국계와 같이 이민사회에서 자리잡은 아시아계들은 아프리카계·남미계를 약물을 복용하고 게으르고 폭력적이라며 경멸한다. 어느 이민사회든 처음에는 자국 출신의 조폭과 어느 정도 결탁하지 않을 수 없고 불법·탈법으로 부가 축적되면 과거를 세탁하고 건전한 영주권자로 정착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수키 킴의 <통역사>는 가난한 한국계 이민 1세대가 자식을 공부시키기 위해 불법체류 한국인들을 미국 이민국에 밀고할 수밖에 없었던 비극적 상황을 그리고 있다.

‘더러운 외국인 노동자는 물러가라.’ 이것은 <하얀 이빨>의 무대배경이 된 런던의 빈민가에서 스킨헤드족들이 이민자에게 자신들의 좌절과 분노를 터뜨리는 소리가 아니다. 한겨레·한민족을 외치는 한국에서 2PM의 리더인 한국계 미국인 2세대 재범에게 한국 팬들이 외친 소리다. 한국 또한 다문화·다인종 사회로 나가고 있다면 우리 안에 있는 야만의 얼굴을 들여다보기 위해서라도 온갖 인종·종교·국적·계급·나이대의 사람들이 뒤섞여 시끌벅적 살아가는 모습을 담고 있는 이런 소설들 한 번쯤 읽어봄직하지 않을까 한다.

임옥희 <여/성이론> 편집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