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3월 월례발표회 안내 2002년 3월 월례발표회가 열립니다. 일시 : 2002년 3월 29일 오후 5시 장소 : 여성문화이론연구소 발표주제 : 여성/욕망/이데올로기 발표자 : 임옥희 연구원 및 연구소 내외 관심있으신 분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더보기
2월 여이연 월례회 1월달엔 바자회가 있어서 월례회를 쉬었지요? 2002년 새해를 맞아 처음으로 갖는 월례회입니다. 많은 분들의 관심과 참여 부탁드릴께요. * 2월 여이연 월례회 일시: 2002년 2월 22일(금) 오후 5시 장소: 여성문화이론연구소 발표자: 권희정 선생님 주제: 광고 분석을 통한 가부장적 코드 읽어내기(가제) 그리고 이날 참여하지 못하는 분들은 미리 알려주셨으면 합니다. 그럼 건강하게 잘 지내시구요. 월례회 때 뵙겠습니다. 더보기
제2차 월례발표회 안내입니다. 제1차 월례발표회는 11월 30일 금요일에 있었습니다. 그리고 제2차 월례발표회가 12월 28일 금요일에 열립니다. 그날에는 연말모임도 함께 열릴 예정입니다. 발표준비는 세미나 광기팀에서 퍼모먼스 형식으로 진행합니다. 많은 참석부탁드립니다 더보기
제1차 월례발표회 제1차 월례발표회 일시: 2002년 11월 30일 금요일 주제: 여성주의 시각에서 모색한 여성성과 21세기 여성상 -한국과 터키 여성 소설 비교를 중심으로- 발표: 오 은 경 더보기
[공지] 콜로키움은 누구나 참여 가능합니다. 안녕하세요. 여이연 콜로키움은 누구나 참여 가능합니다. 관심있는 분들의 많은 참여를 기다립니다. 장소 : 여이연 사무실 (오시는길 보기) 일시 : 각 회차 공지 참조 참여문의 : 02-765-2825 이메일 : gynotopia@gofemnist.org 더보기
여/성이론 통권 제38호 발행일: 2018.06.25 저자: 여성문화이론연구소 편집부 책 소개 『여/성이론』 38호는 현재 한국 사회에서 갈등의 최전선에 놓여있는 페미니즘의 현 상황을 점검하였다. 미투 운동, 페미니즘 내 ‘트랜스’의 위치에 대한 문제, 인터넷을 중심으로 활동하는 페미니스트 그룹, 이성애 중심주의를 공고히 하려는 정부, 기관, 대학 등 페미니즘을 둘러싸고 다양한 공간에서 여러 방식으로 발생하는 충돌들을 살폈다. 이번 호의 특집은 2018년 6월 현재, 한국을 비롯하여 세계 곳곳에서 일어나고 있는 미투 운동을 주제로 삼았다. ‘미투’는 ‘#MeToo’, ‘#Me_Too’, “#METOO” 등 다양하게 표기되고 있으나, 38호는 한국을 중심으로 발생한 ‘미투’ 운동을 중점적으로 다루는 만큼, 한국에서 제일 많이 사용.. 더보기
여/성이론 통권 제37호 발행일: 2013.12.07 저자: 여성문화이론연구소 편집부 책 소개 37호에서는 20주년을 기념하여 여이연의 창립 멤버들과 여이연을 지켜보며 애정해온 분들을 모시고 진행한 여이연 20년 좌담회 기록을 공유한다. 또한, 페미니즘 라이브 꼭지에서 지난 20년 동안의 어느 때, 여이연과 인연이 된 다양한 이들이 말하는 여이연에 대한 추억의 단편들을 모아 “다락방 이야기”라는 제목으로 실었다. 이는 지면상 다 담지 못한 이야기를 포함해 20주년 기념 단행본 『다락방이야기: 페미니스트 연구 공동체 여이연』에도 실린다. 더불어 페미니즘 사용설명서 꼭지에서 스칼렛의 글을 통해 여이연에 대한 이야기를 다른 톤으로도 읽을 수 있다. 20주년을 기념하면서 이번호 여성이론가 꼭지에서는 여이연 식구들에게도 직간접적으로 큰 .. 더보기
여/성이론 통권 제36호 발행일: 2017.05.13 저자: 여성문화이론연구소 편집부 책 소개 성폭력, 말한 것과 말하지 않은 것 ▪ 주요내용 2017년 5월, 『여/성이론』 기획특집 주제는 ‘성폭력’이다. 한국 사회에 만연해 있는 성폭력 범죄에 경종을 울리기 위해 여성들이 이를 심각한 사회문제로 제기하기 시작한 지도 오랜 시간이 흘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무려 ‘여성’ 대통령이 재임 중이었던 국가 행정의 최고기관에서부터 정당, 사회운동계, 영화계, 문학계 등 곳곳에서 기시감을 불러일으키는 성폭력 사안들이 그야말로 터져 나오고 있다. 대체 무엇이 어떻게 잘못된 것인가? 성폭력을 뿌리 뽑고자 해왔던 그동안의 싸움이 어딘가 잘못되었던 걸까? 이번 36호에서는 이 질문들에 답해보고자 하였다. 우선, 배상미의 「성폭력 피해자의 섹슈얼리.. 더보기